|
(진천=연합뉴스) 김형우 기자 = 충북 진천군이 친일 재산을 찾아 국가 귀속시키기 위한 프로젝트에 시동을 걸었다.
송기섭 군수가 지난 11일 충북도청 기자회견에서 "친일 잔재 청산과 역사 바로 세우기에 나서겠다"고 공언한 것에 대한 후속 조처다.
보훈·지적 등 담당 공무원 4명과 광복회 충북지부(2명), 역사 전문가 강민식 박사, 이성구 변호사가 TF에 참여하며, 송기섭 군수가 단장을 맡는다.
진천군은 내년 2월까지 관내 모든 토지(17만1천57필지) 중 친일파 후손의 재산이 있는지 등을 파악해 내년 3·1절을 기념해 그 결과를 공개할 방침이다.
이어 친일재산 환수 검토 및 소송 업무를 담당하는 법무부에 이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종찬 광복회장, 이준식 전 독립기념관장, 김남균 충북인뉴스 편집국장, 강태재 충북참여연대 고문, 이선영 충북참여연대 사무처장 등은 TF 자문위원으로 힘을 보탠다.
이 전 관장은 대한광복군 장성급 장교 출신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지청천(池靑天) 장군의 외손으로,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진천군은 보도자료에서 "친일재산 국가 귀속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하기를 바란다"며 "이강일(청주 상당)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안'도 국가보훈부가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진천군은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주요 친일반민족행위자 7인만 해도 이 지역에서 729필지를 소유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기록에 의하면 친일반민족행위자 민영휘의 두 아들인 민대식이 141필지, 민천식이 32필지, 충주 출신 을사오적 이근택의 형제 이근호가 13필지, 이근홍이 146필지, 매국노 이완용의 차남인 이항구가 5필지, 정미칠적 임선준이 37필지, 조중웅이 355필지를 가졌었다는 것이다.
군은 이들의 후손이 여전히 이들 땅을 소유하고 있는지, 매각했다면 부당이득금 환수 대상인지 등을 일일이 따질 예정이다.
군은 "진천은 일제에 부역한 공로로 자작 작위를 받은 민영규가 후손에게 물려준 광혜원면 죽현리 52번지 1필지를 제외하곤 국가귀속 실적이 미비하다"며 "이는 친일재산조사위원회(2006∼2010) 활동 당시 정밀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방증"이라고 덧붙였다.
송 군수는 "이번 프로젝트는 단순히 친일 재산을 국가로 귀속한다는 의미를 넘어 조국을 등진 자들이 누렸던 잘못된 역사를 국민에게 알리고, 미완의 광복을 채워 자유와 행복의 진정한 가치를 일깨우는 소중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vodcas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