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특검, '금거북이 매관매직 의혹' 이배용 20일 소환

기사입력 2025-10-16 16:23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30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제2기 국가교육과정 전문위원회 위촉식 및 1차 회의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6.30 uwg806@yna.co.kr
참고인이지만 피의자 전환 가능성…前비서도 내주 조사

(서울=연합뉴스) 이영섭 김빛나 이의진 기자 =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김건희 여사에게 고가 귀금속을 건네고 공직에 임명됐다는 의혹을 받는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을 오는 20일 소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 전 위원장은 일단 참고인 신분이지만 수사 과정에서 피의자 신분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에게 지난 13일 출석해 조사받으라고 통보했다. 하지만 건강상 이유를 내세워 응하지 않아 출석 일정을 다시 조율해왔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 재직 시절 비서로 일했던 박모씨도 내주 소환해 이른바 '매관매직' 의혹에 대한 사실관계를 확인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이 전 위원장이 윤석열 정권 초기 김 여사 측에 금거북이 등을 건네고 인사를 청탁했다는 의혹을 수사해왔다.

이 전 위원장이 중장기 국가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는 국가교육위원회 수장으로 임명되는 과정에 김 여사가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게 의혹의 뼈대다.

특검팀은 최근 김 여사 모친 최은순씨가 운영하는 요양원을 여러 차례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금거북이와 함께 이 전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편지를 확보했다. 박모씨도 최근 압수수색 대상이 됐다.

의혹이 제기되자 이 전 위원장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한 것에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지난달 1일 사퇴 의사를 밝혔고,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사표를 수리했다.

이 전 위원장은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역사학자로, 박근혜 정부 시절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친일 인사를 옹호하는 등 왜곡된 역사관을 갖고 있다는 지적에도 2022년 9월 윤석열 정부의 초대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돼 교육계에서 논란이 됐다.

pual07@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