펄펄 끓은 바다…고수온특보 역대 최장에 6년만에 적조피해

기사입력 2025-10-20 10:35

[연합뉴스 자료사진]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올해 우리 바다의 고수온 특보 기간이 역대 최장인 85일을 기록하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 이상이 해양 생태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재해의 발생 원인과 특징을 분석했다고 20일 밝혔다.

그 결과 고수온 특보 기간은 7월 9일부터 85일간 이어져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우리 바다 연근해 해역에서 7∼9월의 평균 수온은 26.8∼27.8도로, 평년 대비 2∼4도 높아 작년과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7월 초∼8월 초 남해와 동해 연안은 18∼27도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매우 높은 수온 분포를 보이다가 8월 중순∼9월 말에는 지난해보다 2∼4도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은 22∼30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부 해역은 기록적인 호우와 지속적인 남풍의 영향으로 냉수대가 형성되고 적조생물이 성장하기 좋은 수온대가 형성됐다.

이에 영양염이 증가하고 경쟁생물이 감소하면서 6년 만에 적조 피해가 발생했다.

이상 기후는 노무라입깃해파리의 출현에도 영향을 미쳤다.

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주변 해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에 나타난 저수온 현상으로 해파리 출현과 성장이 저하됐다.

어업 활동과 피서객에 대한 해파리 피해도 전년 대비 44% 줄었다.

올해 고수온에 따른 양식 생물 피해는 남해와 동해 연안의 수온 상승이 둔화한 데다가 피해 저감을 위한 조기출하, 긴급 방류 등 조치로 전년 대비 13% 수준으로 감소했다.

psj19@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