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충격에도 하반기 수출 강한 증가세…AI발 반도체 호황 덕"

기사입력 2025-10-23 14:14

(평택=연합뉴스) 홍기원 기자. 2025.10.1 xanadu@yna.co.kr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은 "내년에는 IT 증가세 둔화·非IT 부진으로 수출 감소 예상"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인공지능(AI) 수요에 힘입어 우리나라 수출·경상수지 호조가 올해 하반기까지 이어지겠지만, 내년에는 올해보다 수출·경상수지 흑자가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23일 공개한 '수출·경상수지 평가·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9월 우리나라 통관 기준 수출은 미국 관세 부과 등 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659억달러)를 기록했다. 8월 경상수지 흑자도 같은 달 기준 역대 가장 많은 91억5천만달러에 이르렀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대미(對美) 수출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관세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 반도체 수출이 AI발(發) 경기 호조에 힘입어 전체 수출 증가세를 견인하고 있다"며 "수출지역 다변화와 유망 수출산업의 약진도 호조를 뒷받침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한은은 이번 반도체 경기 확장기가 기업의 AI 인프라 수요, 국가적 지원, 제조·서비스업 간 융합 등과 함께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더구나 AI 기능 구현에 필수적인 고성능 주문형 반도체(HBM)가 시장의 주력 상품으로 부상하면서,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한 한국 반도체 기업에 유리한 상황이라는 게 한은의 진단이다.

이런 반도체 호황뿐 아니라 수출시장·산업 다변화 성과 등도 최근 미국 관세 충격을 줄이고 있다.

예를 들어 올해 3분기 자동차 부품의 대미 수출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2% 줄었지만, 대EU(유럽연합)·CIS(독립국가연합) 수출은 각 34%, 52.3% 급증했다. 아울러 선박·방위산업·식품 등의 수출도 꾸준히 늘고 있다.

한은은 "올해 하반기 전체 통관수출은 미국 관세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비교적 강한 증가세를 보일 것"이라며 "경상수지 역시 반도체 수출 확대와 견조한 배당·이자 등 본원소득수입을 바탕으로 상당 기간 양호한 흑자 규모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하지만 내년의 경우 IT(정보기술) 수출 증가세가 둔화하고 관세 영향으로 비IT 부진까지 심해지면서 전체 수출이 감소할 것으로 우려됐다. 경상수지 흑자 폭도 관세 탓에 올해보다 다소 줄어들 가능성이 거론됐다.

한은은 "앞으로 수출이 대외여건과 불확실성을 극복하려면 기업과 정부 모두 AI 시대에 뒤처지지 않도록 IT 부문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며 "로봇·자율주행차·AI 에이전트 서비스 등 새 시장을 선점하고,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구동 등에 필요한 안정적 전력망 확보도 꼭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shk999@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