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체중 관리보다는 복부 지방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암을 예방하는데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 교수 연구팀(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류혜진 교수, 암연구소 강민웅 연구교수)이 고령층에서 암 발생과 체질량지수(BMI) 및 허리둘레의 연관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낮았고, 반대로 허리둘레가 클수록 높았다.
반면, 허리둘레는 대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복부 비만과 내장지방을 더욱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표로 꼽힌다. 이에 연구팀은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가 고령자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 단위 인구 데이터를 통해 비교 분석했다.
◇암 발생, BMI 높을수록 낮고 허리둘레 클수록 높아
그 결과 평균 11.3년의 추적 기간 동안 총 4만 3369건의 암이 발생했으며,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오히려 낮아졌다. 반면 허리둘레는 클수록 암 발생 위험이 더욱 증가하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성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정상 체중(BMI 18.5~23) 범위 내에서도 허리둘레가 높을 경우 암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BMI·허리둘레와 암 발생과의 상반된 관계 첫 규명
고대구로병원 내분비내과 장수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겉으로 보기엔 '정상 체중'이라도 복부 비만이 있으면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령에서 체질량지수(BMI)가 높다는 것은 단순히 체지방량이 많다는 의미가 아닐수 있으며, 근육량이 상대적으로 유지되고 영양상태가 양호함을 반영할 수도 있다"며 "나이가 들면 근육량이 감소하고 체지방이 복부 쪽으로 재분포되기 때문에, 체질량지수(BMI)만으로는 노인의 체성분과 대사 건강을 정확히 반영하기 어렵다. 따라서 노인층에서는 적정체중 유지와 더불어 복부 비만 관리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이 암을 예방하는데 중요함을 보여준 연구결과"라고 강조했다.
또한 장 교수는 "이번 연구는 한국노인을 대상으로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가 암 발생과 반대 방향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기존의 여러 연구들에서는 체질량지수(BMI)가 높을수록 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나, 이는 주로 중년층 이하를 대상으로 한 연구였기에 노인 인구에 집중한 이번 연구는 기존 학설과 대조적"이라며 "향후 근육량과 체지방 분포를 포함한 체성분 분석 후속 연구를 통해 근육량이 실제로 노인층의 암 발생에 있어 보호적인 역할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Contrasting associations of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with cancer incidence in the elderly: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고령층에서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의 암 발생과의 상반된 연관성: 전국 인구 기반 연구)'는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콜로지'(Frontiers in Onc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