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참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올리가리오 바스께스 라냐(83·멕시코) 국제사격연맹(ISSF) 회장이 한국을 찾았다.
라냐 회장은 창원국제사격장 시설에 대해 "가장 우수한 시설로 보여진다. 크게 개선할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이렇게 좋은 대회장을 준비해준 대회 조직위원회와 한국 관계자들께 축하의 말씀을 전한다"고 했다. 라냐 회장과 함께 현장을 찾은 프란츠 슈라이버(독일) 사무총장도 "전에 있던 시설과 비교하면, 사격장으로는 세계 최고다. 결선 사격장이 특히 좋다"고 말하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한국 사격 입장에서는 아쉬운 부분이 간판스타 진종오의 주종목인 50m 권총 올림픽 종목 폐지다. 진종오가 올림픽 4연패에 도전할 수 있는 종목이었다. 이 종목 외에 50m 소총 복사, 더블 트랩 종목이 폐지됐다. 대신 10m 공기권총, 10m 공기소총, 트랩 혼성 종목 3개가 추가됐다. 이번 창원 월드컵 대회는 올림픽 정규 종목으로만 대회가 치러지고 있다. 혼성 종목 신설 이후 월드컵에서 3번째로 혼성 경기가 치러졌다. 라냐 회장은 "폐지된 종목들은 대중성이 약하기 때문에 폐지가 결정됐다. 오늘 본 것과 같은 종목들이 대중성 측면에서는 더 낫다고 본다"고 했다. 라냐 회장은 인터뷰 전 10m 혼성 공기소총 결선 경기를 지켜봤다. 슈라이버 사무총장은 "3개 종목은 올림픽에서 없어진 것일 뿐, ISSF가 주관하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는 그대로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세계선수권대회 종목에 올림픽 폐지 종목들이 그대로 들어가 있다.
한편, 이번 세계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는 북한 대표팀의 참가를 희망한다고 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이 참가하며 남-북 화해 무드가 조성되고 대회 흥행에도 성공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평양을 방문했을 때, 이번 세계사격선수권대회에도 참가해달라는 뜻을 북한에 전했다고 한다. 라냐 회장 역시 마찬가지였다. 라냐 회장은 "다른 회원국들과 마찬가지로 공식 초청장을 보냈다. 아직 답이 오지 않았지만 기다려보고 가능한 모든 채널을통해 북한이 참가할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8월1일이 선수 등록 마감일이기 때문에 그 전에만 참가 의사를 보인다면 북한 선수들도 언제든 대회에 참가할 수 있다. 북한은 그동안 세계선수권대회에 20~30명 규모의 선수단을 꾸준히 파견해왔다.
창원=김 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