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베이징올림픽] '판독기' 왕 멍도 '멍'하게 만든 황대헌 황당실격

류동혁 기자

기사입력 2022-02-08 00:58 | 최종수정 2022-02-08 08:59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4강전이 7일 중국 베이징 캐피탈 인도어 경기장에서 열렸다. 황대헌이 1위로 치고 나오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7/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4강전이 7일 중국 베이징 캐피탈 인도어 경기장에서 열렸다. 황대헌이 1위로 치고 나오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7/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4강전이 7일 중국 베이징 캐피탈 인도어 경기장에서 열렸다. 황대헌이 1위로 치고 나오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7/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000m 4강전이 7일 중국 베이징 캐피탈 인도어 경기장에서 열렸다. 황대헌이 코너로 파고들며 1위로 치고 나오고 있다. 베이징(중국)=정재근 기자 cjg@sportschosun.com/2022.2.7/

[베이징(중국)=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자칭 '판독기'라고 했던 왕 멍(중국)도 황대헌의 실격에 대해 몰랐다.

중국은 자신의 '편파 판정'에 대해 부끄러움이 없다. 대표적 인물이 왕 멍 중국 CCTV 해설자다.

2010년대 중국을 대표하는 쇼트트랙 여자 간판 선수였다. 2010년 밴쿠버동계올림픽 3관왕을 차지했다. 화려한 선수생활을 보냈지만, 거친 플레이로 악명이 높았다.

현역시절 '몸통 박치기'로 대표되는 수차례 고의적 비매너 플레이로 구설수에 올랐다. 베이징동계올림픽에 출전한 '나쁜 손' 판커신이 그의 후계자라 할 수 있다.

특히, 여자 쇼트트랙 간판 박승희와는 악연이 깊었다. 베이징동계올림픽 SBS 해설위원으로 활약하고 있는 박승희 위원은 "(왕 멍은) 선수자격이 없는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최근 중국 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쇼트트랙 편파 판정에 대한 일말의 죄의식을 가지지 않도록 정당성을 부여하는데 열을 올린다. 한국에 대한 노골적 감정을 가감없이 드러낸다.

지난 5일 혼성계주에서 '노 터치 논란'이 '편파판정'으로 이어지자, 왕 멍은 '내 눈이 곧 판독기다. 여러 차례 돌려봤지만, 의심의 여지가 없는 중국의 우승'이라고 했다. 예선에서 한국 박장혁이 쓰러지면서 탈락하자, 박수까지 치면서 '혼자 넘어졌다. 잘 넘어졌다'며 '변명의 여지가 없는 탈락이다. 한국 대표팀이 무슨 변명을 할 지 궁금하다'고 했다.

그러나, 7일은 달랐다. 왕 멍은 이날도 해설을 했다. 황대헌의 실격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고 당황해 했다. 자칫 '딱 보면 안다'는 판독기가 황대헌의 실격에 대해서는 '의외다'라고 했다.


황대헌은 억울했다. 남자 1000m 준결선에서 완벽한 테크닉으로 노골적 견제를 하던 런즈웨이와 리원룽을 순식간에 인코스로 파고들며 따돌렸다. 준결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하지만, 비디오 판독 이후 '뒤늦은 레인침범'이라는 이유로 어이없이 탈락했다. '판독기' 왕 멍도 오류나게 만든 황대헌의 '황당 실격'이다.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