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추석 당일에 전화를 받았어요. 구단 입장도 이해하지만…"
인천고-인하대 출신 민성우도 유니폼을 벗게 됐다. 2022년 육성선수로 롯데에 입단한지 올해로 3시즌을 채 채우지 못했다.
데뷔 첫해 퓨처스(2군)리그에서 타율 2할8푼1리 3홈런 16타점 OPS(출루율+장타율) 0.726을 기록했다. '수비 때문에 뽑았는데, 타격이 괜찮다'는 평가 속 보다 많은 타석을 부여하기 위해 3루수로 출전하는 등 코치진의 주목을 받았다.
2년차에 출전횟수가 줄어들자 군문제부터 해결하기로 했다. 지난해 6월 입소,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했다. 내년 3월 소집해제를 앞두고 퇴근 후엔 연신 땀방울을 쏟아내는 나날이었다.
하지만 롯데와의 인연은 채 3년을 채우지 못했다. 명절 당일에 울린 전화벨은 그와 롯데의 작별을 알리는 소리였다.
민성우는 입대 당시에 대해 "갔다와서 다시 하자는 뉘앙스의 이야기를 나눴고, 방출되지 않고 군보류로 묶였으니까 제대날만 기다렸죠. 합류할 준비가 거의 다 됐거든요"라며 속상해했다.
|
그도 구단의 입장은 이해한다. 프로세계는 냉정하다. 야구단의 자리는 정해져있다. 1년에 신인 선수만 11명이 입단한다. 그외 추가 영입 선수도 있고, 차후 전력보강을 위해 비워둘 필요도 있다. 대부분의 육성선수는 1순위 정리대상이다.
민성우는 어린시절 스케이트로 운동을 시작했다. 선수로도 가능성 있다는 평을 받았다고. 초등학교 때까지 야구와 병행했지만, 그의 선택은 야구였다.
"어릴 때부터 TV에 야구만 나오면 정신없이 봤대요. 아버지랑 형도 야구 좋아하고, 아버지는 원래 야구선수 꿈꾸던 분이었거든요. 초등학교 때 야구부원 모집 공고를 보고, 거기서 하성진(전 SSG 랜더스) 형을 만나면서 본격적으로 야구에 발을 들였죠. 인천고에서도 같이 뛰었고요."
아마추어 시절만 해도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하는 만능 선수였지만, 프로의 벽은 높았다. 두 번의 드래프트에서 좌절을 맛봤고, 어렵게 몸담은 프로에서도 결국 외면당했다.
|
"전 포수니까, 필요한 팀이 있지 않을까요. 남은 6개월 충실히 잘 보내고, 다시 도전하겠습니다. 롯데도 다시 테스트 불러주시면 기꺼이 갈 겁니다. 기회를 가장 먼저 준 팀이 롯데 아닙니까. 부산에도 애정이 엄청 커졌거든요. 지금을 밑거름삼아 더 좋은 선수가 되겠습니다. 야구로 꼭 성공하겠다는 오기가 생겼습니다. "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