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스포츠조선 한동훈 기자] 오심은 아니었다. 이를 이용한 LG 트윈스 오지환도 영리했다. 한화 이글스도 억울할 만한 상황이었다.
다만 2회말에 아쉬운 장면이 나왔다. 한화가 졌다면 논란이 될 법한 상황이었다.
1-0으로 앞선 한화가 1사 1, 2루 추가 득점 기회를 만들었다.
오지환도 이미 자리를 잡았다. 공이 떨어지길 기다리는 것처럼 보였다.
인필드플라이가 선언되지 않았다. 한화 주자들은 당연히 뜬공 아웃을 예감한 듯, 베이스에 붙었다.
그 순간 오지환이 번뜩이는 재치를 발휘했다. 공을 안 잡았다. 유격수 땅볼과 똑같은 상황. 오지환은 바로 2루에 송구해서 1루 주자를 포스 아웃시켰다. 그리고 2루 주자 하주석을 런다운에 가둔 뒤 아웃. 병살타를 만들었다.
|
|
사실 항의해도 소용이 없었다.
인필드플라이는 오로지 심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선언된다.
야구규칙은 '인필드플라이'를 '무사 또는 1사에 주자 1, 2루 또는 만루일 때 타자가 친 것이 플라이 볼(직선타구 또는 번트한 것이 떠올라 플라이 볼이 된 것은 제외)이 되어 내야수가 평범한 수비로 포구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고 정해놓았다.
평범한 수비의 기준은 오직 심판이 결정한다. 잔디를 밟았다고 외야가 되는 것도 아니다. 야구규칙은 '심판원은 인필드플라이 규칙을 적용할 때 내야수가 보통의 수비로 처리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기준으로 삼아야 하며, 잔디선이나 베이스 라인 등을 임의로 경계선으로 설정하여서는 안 된다'고 설명한다.
심판이 정하면 끝이다. 야구규칙은 '인필드플라이는 결코 어필 플레이가 아니다. 심판원의 판단은 절대적이며 그 결정은 즉각 내려져야한다'고 정했다.
|
|
그래도 김경문 한화 감독은 더 문제를 삼지 않았다.
김경문 감독은 "들어와서 다시 리플레이 보니까 심판도 결정하기 애매한 위치더라. 오지환 선수가 역시 커리어있는 선수답게 플레이 잘했다고 평가해야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대전=한동훈 기자 dhhan@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