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현장에서]농구장도 예외 아니다, 선거운동 노심초사

김가을 기자

기사입력 2019-04-01 16:41



"아침부터 정신이 없습니다."

마지막 결전을 앞둔 창원 LG 관계자의 말이다.

창원 LG는 1일 창원실내체육관에서 부산 KT와 2018~2019 SKT 5GX 프로농구 6강 플레이오프(PO 5전3승제) 5차전을 치른다. 내일은 없는 단두대 매치다. 두 팀은 2승2패를 나눠가지며 최종전까지 왔다.

농구 열기만으로도 뜨거운 경기장. 하지만 구단은 또 다른 이슈로 노심초사 하고 있다. 바로 정치색, 선거 유세 때문이다.

경남 창원은 4·3 보궐선거 지역이다. 창원 성산 보궐선거는 최대 격전지로 꼽힌다. 민주당과 정의당이 후보단일화를 마치며 보수와 진보가 제대로 맞붙었다. 총선을 앞두고 있는 보수와 진보진영은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 심상정 정의당 의원 등이 창원을 찾아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달 30일 창원축구센터에서 펼쳐진 창원과 대구의 대결이었다. 당시 황교안 대표가 갑작스럽게 경기장으로 들어섰다. 한국당의 기호를 상징하는 V자를 그리며 지지를 호소했다. 경남 프런트는 곧장 다가가 경기장 내 유세를 멈춰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아랑곳하지 않았다. 불똥은 애꿎은 구단이 뒤집어 쓰게 됐다. K리그 및 대한축구협회는 각각 정관 제3조와 5조를 통해 경기장 내 선거운동을 금지하고 있다. 이를 어길 경우 연맹은 홈팀에 10점 이상의 승점 감점이나 무관중 홈 경기, 제 3지역 홈경기, 2000만원 이상의 제재금 부과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다.

농구장도 예외는 아니다. 선거 유세 '핫 플레이스'다. 1일 경기를 앞두고도 황교안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이 경기장을 찾을 것이라는 예보가 이어졌다.

축구의 사례를 본 KBL. 곧바로 정관 해석에 나섰다. 하지만 '정치', '선거' 등의 단어가 직접적으로 들어간 문구는 없다. 대신 '경기에 방해가 될 경우 홈 구단이 입장 거부 혹은 퇴장을 명령할 수 있다'는 규칙이 있다.


홈 팀 LG는 만만의 준비를 갖췄다. 구단 관계자는 "정당에서 경기장을 방문할 것이라는 연락을 받았다. 이에 경기장 입장은 티켓을 직접 구매해야 가능하다. 또한, 선거 활동 및 선거 관련 물품(점퍼 등) 반입은 금지라고 얘기했다"고 전했다.

다행히도 급한 불은 껐다. 이정미 대표측은 오후 4시30분 구단에 전화해 방문하지 않겠다는 뜻을 전했다. 하지만 황교안 대표 일정은 여전히 물음표다. 노심초사는 계속되고 있다.

창원=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명품 커플 궁합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