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이승미 기자]화려한 승리의 역사가 아닌 패배의 역사를 택한 용기, 150억이라는 엄청난 제작비를 들이면서도 뻔한 흥행 클리셰를 모두 피한 선택. '남한산성'은 황동혁 감독의 엄청난 뚝심으로 완성됐다.
올 추석 극장가에서 블록버스터 '킹스맨: 골든 서클'을 대적할 가장 큰 기대작으로 꼽히고 있는 영화 '남한산성'(황동혁 감독, 싸이런픽쳐스 제작). 연출을 맡은 황동혁 감독이 최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가진 스포츠조선과 인터뷰에서 개봉을 앞둔 소감과 영화에 관련된 비하인드 에피소드를 전했다.
|
이날 황동혁 감독은 오로지 이야기의 힘으로 150억 대작을 완성한 용기와 뚝심에 대해 "관습을 벗어난 이야기도 통할 거라는 확신이 있었다"고 말했다.
"최근 나오는 한국영화들이 너무 과도한 장치를 많이 쓰고 있는 것 같아요. 관객을 따라가기 보다는 관객 보다 앞서 나가 어떤 장치를 조작하는 것들이 많았죠. 아마 많은 분들이 '남한산성'을 보기 전까지는 우리 영화도 그런 영화로 생각하셨던 것 같아요. 150억이나 들인 대작에 CJ엔터테인먼트에서 내놓는 명절 영화라고 하니까요. 그런데 막상 영화를 보니 그런 느낌이 없는 영화니 반가워해주시는 분들도, 또 당황하시는 분들도 계신 것 같아요. 저는 믿었어요. 클리셰의 관습에서 벗어난 영화도 대중이 사랑해주실 거라는. 그리고 시사회 이후 반응을 보면 제 생각도 어느 정도 맞았던 것 같아요."
이어 그는 '남한산성'을 '정공법'으로 연출한다 했을 때 물음표를 그리는 이들도 많았었다고 솔직히 입을 열었다. 황 감독은 "이런 영화를 만든다고 했을 때 주변에서 말리는 사람들도 많았다. '이순신 장군 같은 영웅이 나오지도 않는 이야기를 왜 굳이 만들려고 하냐'고 하더라"고 말했다.
|
그래서 더욱 도전해 보고 싶고 용기도 내고 싶었어요. 다행히도 제가 연출했던 앞선 작품들이 흥행에 성공('수상한 그녀(2014)', '도가니'(2011)) 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저에 대한 신뢰가 있었고 그 때문에 많은 제작비를 투자해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정말 훌륭하고 좋은 배우들이 모였죠. 흥행에 관련해서는 이제 제 손을 떠난 문제인 것 같아요. 영화를 만들면서도 흥행은 생각하지 않았어요. 오로지 영화만 생각하자 싶었어요. 적어도 영화적으로 완벽한 영화, 영화적으로 아름다운 영화를 만들자. 그 목표를 향해 달려가자고 생각했어요. 그렇게 완성이 된다면 알아주는 사람들은 반드시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병자호란은 우리나라의 패배의 역사이자 굴욕의 역사로 기억되는 사건. 황 감독은 '승리의 역사'가 아닌 패배의 역사를 택한 이유 묻는 질문에 "패배의 역사에서도 희망을 보았다"고 답했다.
|
전쟁에서 지는 이야기를 보여드리고 싶었던 게 아니라 그 전쟁 속에서 어떤 인물들이 있었는지, 그들이 얼마나 간절했는지, 또 병자호란과 비슷한 역사는 계속 반복되지만 그 속에서 우리나라 민족을 이어온 민초들은 또 다시 발을 일구고 터를 가꿔 생명력을 이어갔다는 것, 그런 노력이 우리를 있게 했다는 걸 보여드리고 싶었어요. 그래서 이 영화의 결말이 인조의 치욕스러운 모습이 아닌, 서날쇠의 힘찬 망치소리와 몸의 풍경 속으로 뛰어는 아이 나루의 모습이었던 거죠."
smlee0326@sportshcosun.com, 사진=송정헌 기자 so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