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열기가 할로윈 주간을 맞아 북미 지역에서도 극에 달하고 있다. 그리고 '오징어 게임'의 인기를 분석하는 해외 주류 언론들의 분석 기사들도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미국인들 특히 미국의 영화인들 입장에서는 일면 수긍이 가는 수상이었다는 평이 많았다. 당시 할리우드에서는 수년째 이어져온 백인 중심주의를 성토하는 목소리가 극에 달했다. 앞서 열린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기생충'이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는데 그치자 유명 배우들 사이에서도 '문제가 있다'는 반응이 많이 나왔고 봉준호 감독은 수상소감으로 "자막의 장벽, 그 1인치의 장벽을 뛰어넘으면 여러분들이 훨씬 더 많은 영화를 즐길 수 있다"고 의미심장한 소감을 남기기도 했다. 다른 인터뷰에서 그는 아카데미를 두고 "로컬 시상식"이라는 다소 중의적인 표현을 하기도 하며 문제의식에 기름을 부었다. 당시 미국 일간지 LA타임스는 ''기생충'이 '오스카'를 필요로 하는 것보다, '오스카'에게 '기생충'이 더 필요하다'는 기사를 내보냈을 정도다.
BTS의 성공 역시 충격이지만 충격이 아니었다. 트렌드에 민감한 '팝컬처'이기 때문이다. '팝컬처'는 늘 급변하고 수많은 장르가 존재한다. BTS의 팬층은 1020세대를 중심으로 커지고 음악은 스포티파이 등으로 금새 전세계에 공유된다. 유튜브, 틱톡 등 영상을 통해 단숨에 뮤직비디오에 대해 이야기 나눌수 있는 시대에 어느 지역의 음악인가는 별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지 못한다. 영국의 팝음악, 일본의 팝음악도 한때 인기를 모은 적이 있다. 싸이의 '강남스타일'도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적 인기를 누린 적이 있고 스페인 로스델리오의 '마카레나' 역시 그랬다. 또 BTS 음악의 기본 장르 자체가 미국의 팝음악이라는 인식도 큰 몫을 했다.
이외에도 미국의 일간지 뉴욕 타임스, 뉴스채널 CNN,영국의 공영 방송 BBC, 일간지 더 가디언 등에서도 '오징어 게임'에 대한 칭찬을 쏟아낸 바 있다.
때문에 '오징어 게임'의 글로벌 인기는 K-콘텐츠의 미래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인프라나 인식과는 별개로 한국적인 콘텐츠 자체와 생산 능력이 글로벌 대중문화를 선도하는 미국 대중들에게 통했다는 증명이기 때문이다. 그들이 놀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고재완 기자 star77@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