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강원 '빅네임→신예' 영입정책 변경 이유는?

정현석 기자

기사입력 2017-12-20 18:06



강원FC의 겨울 영입전이 시작됐다.

송준섭 강원 감독의 첫 선택은 수비 강화다. 19세 이하(U-19) 대표 수비수 이재익(19)에 이어 20일에는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금메달리스트 수비수 이주영(26)을 영입했다. 송 감독은 최근 영입한 코칭스태프를 중심으로 기존 자원 및 새롭게 수혈한 선수들로 새판짜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강원은 지난해 겨울 이적시장에서도 초반부터 영입전을 전개했다. 이근호를 시작으로 황진성 문창진 이범영 정조국 등 리그 정상급 선수들을 잇달아 영입했다. 올 겨울에도 초반부터 발걸음을 뗐지만 1년 전과는 무게감에서 확연히 차이가 난다.

이유가 있다.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다. 강원은 올 시즌을 시작하면서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 진출을 목표로 삼았다. 팀 운영비는 일부 기업구단보다 높은 200억원 이상으로 책정했다. 자체 영업으로 비트코인거래소인 코인원으로부터 5억원, 춘천시 홈경기 이전으로 5억원 등의 스폰서십을 이끌어내는 성과도 냈다. 그러나 운영비로 책정한 금액의 75% 이상인 160억원이 강원도(120억원) 및 강원랜드(40억원)의 주머니에서 나왔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도 내 스포츠 붐조성이라는 '명분'이 있었기에 가능한 성과였다. 하지만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뒤에도 강원이 계속 '수혜'를 입을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내년 시즌 강원의 운영비 계획은 200억 원 내외로 알려졌으나 실제 이만큼의 돈을 쓸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이어지고 있다. 실제 강원은 올 시즌 한때 인건비 지급 지연 등으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빅네임' 영입이 쉽지 않은 것은 이런 분위기와 연관이 있다.

체질개선의 목적도 엿보인다. 강원은 승격 첫 시즌인 올해 그룹A에 진입하는 성과를 내긴 했으나 플랜B 부족이 꾸준히 지적됐다. 베테랑 이근호는 강원이 올 시즌 클래식서 치른 38경기 중 37경기에 나섰다가 피로누적으로 결국 2017년 동아시안컵을 앞두고 무릎에 물이 차는 부상에 시달렸다. 정조국 역시 재활 기간을 단축 하려다 오히려 부상 기간이 길어졌다. 나머지 포지션 역시 부상 또는 징계 등 변수라는 구멍이 생길 때마다 블랙홀이 됐고, 이는 강원이 '1골 승부'를 잡지 못한 채 무너지는 원인이 됐다. 올 시즌 스카우트로 활약했던 송 감독은 기존 구성을 지키면서 플랜B 구축에 좀 더 신경을 쓰는 눈치다.

축구계 관계자는 "강원이 올 겨울 이적시장에도 활발히 보강에 나설 것으로 보이지만 지난해처럼 눈에 띄는 선수의 영입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라며 "이적료나 보상금이 발생하지 않는 자유계약(FA)선수 영입에 초점이 맞춰질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30만원 홍삼제품 4만원에 사는 방법있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