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한축구협회(KFA)는 한국 축구의 미래를 키울 '뉴(new) NFC(축구종합센터)' 사업을 시작했다. 총 24개 지자체가 축구종합센터 건립 용지 선정을 위한 유치 신청서를 냈다. 24대1의 높은 경쟁률이다. 총 사업비가 1500억원(추산)에 달하고, 부지 규모만 33만㎡로 2001년 11월 완공된 파주NFC의 3배다. 한마디로 KFA와 한국 축구의 미래가 걸린 대형 프로젝트다. KFA는 이 사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KFA가 꾸린 선정위원회는 1차 서류 심사, 2차 프레젠테이션 심사, 3차 현장 실사 후 우선 협상자 1~3순위를 정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
스포츠조선은 새로운 축구종합센터는 '이런 곳이어야 한다' 기획 시리즈를 5회에 걸쳐 연재한다. <편집자주>
따라서 대기의 질은 향후 우리나라 전분야의 정책 집행에 있어 중요한 하나의 고려 요인으로 떠올랐다. 정치 사회 경제 뿐 아니라 스포츠 문화 등에서도 매일의 공기 질을 살피고 감안해야하는 시대를 맞았다. 최근 몇년간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가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걸 고려하면 향후 대기의 질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데 큰 변수로 고려해야 마땅할 것이다.
선정위원회(비공개 원칙)를 꾸린 축구협회는 1차 서류 심사를 진행 중이다. 24곳 중 절반이 1차 서류 심사에서 탈락할 예정이다. 축구협회는 선정 심사 기준까지도 외부 공개를 꺼리고 있다.
스포츠과학자들은 새 축구종합센터 건립 부지 선정에 있어 경제성과 함께 반드시 고려할 포인트로 훈련의 쾌적성을 꼽는다. 향후 새 축구종합센터는 국가대표 선수는 물론이고 미래 유망주, 심판, 일반 국민 등 한해에 수 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우리나라 및 아시아 대표 스포츠 시설물이 될 것이다. 따라서 대표 선수 및 국민들의 건강과 훈련의 질 등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그런 측면에서 최근 빈번하게 발생해 우리의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는 미세먼지와 황사는 이번 부지 선정에 있어 중요한 선정 기준이 되고 있다.
한반도는 지역별로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가 차이가 난다. 축구협회 선정위원회는 이번 부지 선정에 있어 24곳 후보지의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반드시 체크할 필요가 있다. 환경부는 매년 대기오염도현황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2017년 조사에서 수도권, 대도시, 공업도시, 해안도시(서해안 쪽) 등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프로야구위원회(KBO) 실행위원회는 미세먼지와 관련해 KBO 리그규정에 미세먼지 특보 수치를 명시하고, 미세먼지 경보((PM2.5((초)미세먼지) 150㎍/㎥ 또는 PM10(미세먼지) 300㎍/㎥이 2시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 시 해당 경기운영위원이 지역 기상대에 확인 후 구단 경기관리인과 협의해 경기 취소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미 지난해 프로야구 선수들은 미세먼지 때문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경기 전 훈련을 진행한 적이 몇 차례 있다. 야구와 함께 대표적인 야외 스포츠인 프로축구 K리그도 매년 미세먼지 농도가 강해지고 있어 고민이 깊다.
한 수도권 구단 고위 관계자는 "일부에선 신체건강한 운동 선수들에게 미세먼지가 얼마나 큰 영향을 주겠느냐고 말한다. 그러나 선수도 우리와 같은 사람이다. 건강하게 좋은 경기력을 위해선 쾌적한 곳에서 운동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봄방학 신나는 초등생 스키캠프 열린다!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