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카드론·저축은행 등 제 2금융권 대출 증가폭 둔화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7-06-07 10:46


올들어 금융당국이 비은행권 '대출 조이기'에 나서면서, 카드사·저축은행 등 제2 금융권의 대출 증가폭이 크게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민·롯데·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카드가 발표한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카드론 대출의 90%를 차지하는 이들 7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1분기 말 기준으로 24조616억원을 기록, 전 분기 23조6845억원보다 3771억원 늘어났다. 전 분기 대비 카드론 증가액이 3000억원대로 떨어진 것은 2014년 4분기 3554억원 이후 9분기만에 처음이다. 이들 카드사의 1분기 카드론 취급액도 8조9976억원으로 전 분기 9조2655억원보다 2679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카드론 증가 둔화는 금융당국의 2금융권 대출 조이기 정책의 영향이라는 분석이다. 올해 초 제 2금융권 대출이 급증하는 '풍선효과'가 나타날 조짐이 보이자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카드·캐피탈 업체 등에 올해 가계대출 증가율이 10%를 넘기지 않고, 특히 1분기 대출증가율은 지난해 1분기 대출증가율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등 대대적인 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도 3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19조3682억원을 기록, 전월 대비 1185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는 2015년 8월(426억원) 이후 가장 적은 규모다. 또 지난 1분기 신용협동조합의 전 분기 대비 대출 증가액은 8353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 증가액(1조9468억원)의 절반 이하로 줄었고, 상호금융의 증가액도 2조9830억원으로 전 분기(5조6323억원) 증가액의 절반 수준이었다. 새마을금고(4조7428억원→2조5288억원)와 보험사(4조3521억원→7794억원), 여신전문기관(2조3900억원→1조811억원)도 전 분기 대비 대출 증가액이 급감했다.

그러나 이처럼 2금융권 대출 증가액이 줄어든 것에 대해, 소득이 높고 담보 가치가 높은 사람에게만 대출이 몰리고 정작 돈이 필요한 서민들이 돈을 쉽게 빌리지 못한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현장정보 끝판왕 '마감직전 토토', 웹 서비스 확대출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