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7곳은 올해 직원들의 연봉을 인상할 계획인 것으로 조사됐다.
평균 연봉 인상률은 6%로 집계됐다.
직급별 평균 인상률을 살펴보면 사원급이 평균 6.4%로 가장 높았고, 대리급(5.9%), 과장급(5.5%), 부장급(5%), 임원급(4.4%) 순이었다.
올해 인상률을 지난해와 비교하면 '비슷할 것'(51.6%)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이어 '높아질 것'(29.1%), '낮아질 것'(12.3%) 순이었으며, '작년에는 연봉을 인상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6.9%였다.
반면, 연봉을 동결 혹은 삭감하려는 기업(330개사)은 그 이유로 '회사 매출 등 성과가 나빠서'(42.4%,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재무 상황이 좋지 않아서'(34.8%), '인건비 절감을 위해서'(21.2%), '업계 전반적인 추세여서'(13.3%), '내년에 불황이 심해질 것 같아서'(8.8%), '연봉 외 다른 보상으로 대체할 계획이라서'(8.2%)등을 들었다.
한편, 기업들이 연봉 인상 여부와 인상률을 책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으로는 '기업 실적과 목표달성률'(42.2%)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개인 실적과 목표달성률'(14.9%), '회사의 재무 상태'(14.1%), '물가 상승률'(8.5%), '인사고과 점수'(6.8%), '동종업계 연봉 현황'(4.4%), '노사간 협의 사항'(3.4%), '부서 실적과 목표달성률'(2.7%)등의 답변도 있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