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집값 상승·주택담보대출 규제 겹쳐 전세 수요 ↑…시중은행 전세대출 1년 만에 42% 증가

김소형 기자

기사입력 2018-05-16 15:00


주택 가격 상승과 주택담보대출 규제로 전세 수요가 늘면서, 시중은행 전세자금 대출 잔액 규모가 1년만에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4월 말 전세자금대출 총 잔액은 약 52조342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월 대비 42.46%(25조321억원) 증가한 수치로, 지난해 1월(42.48%) 이후 15개월 만에 가장 많이 늘어난 것이다.

2016년 8월 30조원을 돌파한 주요 시중은행의 전세자금대출 총 잔액은 지난해 8월 40조원, 올해 3월 50조원을 넘어섰다. 이러한 추세라면 연내 60조원 돌파도 어렵지 않을 전망이다.

당국이 연달아 내놓은 주택담보대출 등 가계부채 규제가 전세자금대출 잔액 증가세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은행권의 해석이다. 서울 등 투기지역의 경우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이 집값의 40%에 묶여있지만, 전세자금대출은 전세보증금의 80%까지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최근 집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면서 가용자금이 부족한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대출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전세로 눈을 돌린다는 것이다.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4월 기준 서울 지역의 아파트 중위 매매가격은 7억4418만원, 전셋값은 4억2776만원으로 집계됐다. LTV 규제(40%)를 고려했을 때 서울에서 중위가격의 아파트 한 채를 구입하려면 대출을 제외한 순수 개인자금이 4억4000만원 이상 필요한 반면에, 전세의 경우 8000만원 정도만 있으면 나머지는 대출금으로 충당할 수 있는 셈이다.

아울러 주택가격 상승세 둔화와 역전세난 소식 속에 조만간 부동산 시장이 꺾일 것이라는 기대도 전세 수요를 늘리고 있다. 고점 매매를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전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