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그룹이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기술 적용을 통한 스마트한 업무 환경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이날 행사에는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사장, 김영섭 LG CNS 사장, 홍순국 LG전자 소재/생산기술원 사장 등 LG R&D 관련 경영진과 LG 계열사 내 인공지능 개발자, 빅데이터 분석 담당자 등 약 600여명의 임직원들이 참석해 최신 기술 트렌드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이 자리에서는 보고서를 작성하는 로봇 기술, 화학 신물질 후보를 발굴하는 인공지능 플랫폼, 통합 스마트 공장 플랫폼 등 LG 계열사들의 스마트한 업무 혁신 사례를 공유했다.
LG화학은 '인공지능을 활용한 화학 신물질 후보 발굴'을 주제로 연구 기간을 줄일 수 있는 인공지능 플랫폼을 소개했다. 기존에 물질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람이 일일이 실험을 진행했던 것과 달리 인공지능이 스스로 기존 연구 데이터를 학습하고 예측해 적합한 후보 물질을 발굴해 추천해 준다.
LG CNS는 상품기획부터 생산라인, 물류까지 제품을 만드는 전 과정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통합 스마트공장 플랫폼인 '팩토바(Factova)'를 발표했다. 팩토바를 활용하면 시장 조사, 제품 스펙 설정, 설계, 시제품 제작 등으로 통상 6개월 이상 걸렸던 상품기획 기간을 AI 빅데이터 분석과 가상 시뮬레이션 등을 통해 2, 3개월로 단축할 수 있다. LG CNS는 LG전자 북미 세탁기 공장, LG디스플레이 OLED공장, LG화학 폴란드 전기차 배터리 공장 등 LG 계열사 신규 공장에 우선적으로 팩토바를 도입하고, 기존 공장에도 순차적으로 지능화 적용을 확산시킬 계획이다.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사장은 "계열사 핵심 사업 역량과 기술력을 응집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그룹 차원의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해 실질적 고객 가치로 연결되는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LG사이언스파크는 미래 선도 기술을 확보하고 빠른 실행으로 연결할 수 있는 조직 체계 정비 및 인프라 지원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어 나가는 심장 역할을 할 것" 이라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