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7월7일 개최된 2019 한국백내장굴절수술학회에서 민병무(대전우리안과) 노세현(MGS선목안과) 김명준(SNU서울안과)원장의 "수술 후 빛번짐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시행한 Laser Asymmetric Keratectomy(LAK)"라는 내용의 자유연제 발표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국내 안과의사들에게 발표된 락(LAK) 수술법은, 20년전부터 전세계 안과의사가 찾고자 했던 시력치료 기술이다. 이 신기술은 2015년 유동학 권위자인 독일의 호세 로드리게스 아구도 박사와 캐나다 토론토대 연구진과 협업을 통해 국내 안과연구진이 완성했다.
락(LAK)수술은 빛번짐과 각막 건조증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획기적인 의료기술로써, 노안백내장 또는 녹내장수술 후 안압이 저하되면서 발생하는 각막 변형에 의한 빛번짐과 각막건조증의 원인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지금까지는, 대안으로 각막의 건조 증상을 완화시키고자, 마이봄샘을 치료하거나 눈물의 배출을 막거나 인공눈물을 점안했다. 따라서, 대안으로 해결이 안될 경우 락(LAK) 수술로 완치될 수 있다.
|
초점거리를 맞추기 위해 각막을 절삭하는 기존 시력교정 방법은 수술 후 빛번짐과 각막 건조증 등 부작용이 수술자의 약 40%정도에서 발생하는데, 올해 3월 SCI 의료과학저널인 LIMS에 게재된 "Laser asymmetric ablation method to improve corneal shape" 제목의 논문은, 시력이상증 환자 122안의 장기적인 임상 결과에서, 이 원인은 각막 두께편차로 인해 만들어진 각막변형 때문이라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혀냄으로써, 전세계 안과학계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락(LAK) 수술법은 기존 시력교정술과는 달리 각막변형으로 발생하는 시력 이상을 치료하기 위해 레이저로 대칭각막을 만드는 생체역학적 각막절삭 기술이다. 따라서, 수술 후 안경이나 렌즈와 같이 각막의 형태가 대칭이 되며 시력이 맑아지고 빛번짐과 건조증 같은 부작용이 해결되는 최신 기술이다.
락(LAK) 수술법의 또 하나 장점은 레이저가 각막의 얇은 부분을 깎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시력교정과 노안백내장, 녹내장 수술을 하거나, 또는 원추각막과 같이 얇은 각막을 가진 환자의 시력이상증도 안전하게 해결해 줄 수 있다. 또한, RGP렌즈를 벗고자 하는 분들의 시력교정도 가능하게 되었다.
락(LAK) 수술 권위자인 대전우리안과 민병무원장은 "락(LAK) 수술로 그간 원인 치료가 불가능했던 빛번짐, 눈건조증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술이 한국에서 개발 발전됨으로써, 한국 안과의 위상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스포츠조선 medi@sportschsoun.com>
▶사주로 알아보는 내 운명의 상대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Copyrightsⓒ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연예 많이본뉴스
연예 많이본뉴스
스포츠 많이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