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도 최근 3년간 서울 시내 전통시장은 활기를 띤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시내 골목상권과 발달상권은 매출이 감소세를 보였다. 서울시의회가 2016~2021년 카드 매출액 자료 등을 토대로 1493개 세부 상권 및 63개 세부 업종의 매출액 등을 분석한 결과다.
24일 서울시의회가 발간한 '서울시 상권 매출액 분석을 통한 소상공인 피해 추정 및 정책적 합의' 보고서에 따르면 상권별 총매출액은 2018~2019년 일제히 감소세를 보였다. 다만 코로나 위기 이후에는 상권마다 희비가 엇갈렸다.
골목상권과 발달상권의 경우 2020년 점포당 평균 매출액이 전년보다 소폭 늘긴 했으나 작년에는 2018년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반면 전통시장은 코로나19 시기임에도 2020~2021년 점포당 평균 매출액이 약 4.6% 증가했다.
개별 상권 중 2019년 대비 2021년 점포당 평균 매출이 감소한 상권은 전체 1493개 중 765개(51.2%)로 과반이 넘었다. 특히 영세 상권의 매출 피해가 두드러졌다.
보고서는 "단기적으로는 소상공인·자영업자 피해 지원과 함께 상권별로 맞춤형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포화상태인 소상공인·자영업 구조를 양질의 도시형 첨단산업 일자리로 일부 개선 및 전환하기 위한 기업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