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KAMA, 2024년 자동차 수출 279만대로 최고 실적 전망

카가이 기자

기사입력 2024-12-23 13:09

사진제공 : 카가이(www.carguy.kr)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이하 KAMA)는 올해 우리 자동차산업을 평가하고 내년도 산업여건을 전망한 ‘2024년 자동차산업 평가 및 2025년 전망’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자동차산업은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내수는 부진을 보였으며, 북미시장으로의 국산차 판매 호조로 수출은 증가했다.

내수는 경기부진 지속, 고금리, 높은 가계부채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신차 구매의향 감소 추세, 전기차 판매 부진 지속, 하반기 자동차업체(일부 부품업체 포함)들의 임단협 협상에 따른 부분파업으로 인한 생산차질 등으로 전년대비 6.3% 감소한 164만대로 추정했다.

수출은 유럽지역 감소에도 불구, 최대 수출시장인 북미시장으로의 견조한 수요 지속, 국산 SUV, HEV 선호 지속 등으로 전년대비 0.7% 증가한 279만대 수준 예상, 2016년 이후 최고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친환경차 수출(10월 누적)에서 HEV는 38.7%의 높은 수출 증가세를 유지했다. 전기차는 세계적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부진) 영향으로 22.2% 감소한 것이 눈길을 끈다,

특히 대(對)미 전기차 수출은 IRA세액 공제 요건 강화 및 고금리로 인한 소비자 부담 가중에 따른 미국 전기차 수요 둔화, 현대·기아 현지생산 (아이오닉5, EV9 등) 증가로 전년대비 5.0% 감소(전체 전기차 수출의 39.6%)할 것으로 전망됐다.

완성차 수출액은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불구, 하이브리드, SUV 등 고가 차량 수출 확대 등으로 전년대비 0.2% 증가한 약 710억불(MTI 741 기준)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생산은 전반적인 내수 부진과 상반기 현대, 기아의 일부공장 생산시설 조정에 따른 가동중단과 하반기 자동차업체들의 임단협 협상에 따른 생산 차질 등으로 전년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로 예상됐다.


2025년 글로벌 자동차 수요는 최대시장인 중국의 저성장 기조에도 불구하고 물가 안정과 금리인하,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구매여건 개선 등으로 전년대비 3.3% 소폭 증가한 9,471만대로 전망됐다.


2025년 국내 자동차시장은 판매 부진 장기화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전년도 기저에 의한 반등으로 내수는 소폭 증가할 전망이나, 수출은 코로나19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이 예상된다.


내수는 인플레이션 완화 및 금리인하 기대에 의한 소비심리 개선, EV 대체 구매에 따른 HEV 판매증가, 전년도 내수부진의 기저효과 등으로 반등 전망이 우세하지만 EV 캐즘, 여전히 높은 가계부채, 자산시장 불안정 등으로 전년대비 1.3% 소폭 증가한 166만대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수출은 美 대선 이후 한·미 통상환경 악화, 중국 팽창, 해외생산 증가 등 수출 감소 요인들의 확대와 코로나19 이후 4년 연속 수출상승 누적에 의한 역기저효과 등으로 전년대비 3.1% 감소한 270만대, 수출액은 4.2% 감소한 680억불로 전망됐다.생산은 내수 반등에도 불구하고 수출용 생산 감소로 국내 생산은 전년대비 1.4% 감소한 407만대로 2년 연속 감소가 예상됐다.

김태진 에디터 tj.kim@carguy.kr


nt>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