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식통에 따르면 일본 측은 재무성과 경제산업성, 외무성을 중심으로 협의체에 참가하며 일본무역보험과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옛 일본수출입은행)도 포함될 가능성이 검토된다. 미국 측에서는 상무부가 참여한다.
일본 정부는 미국 측의 자동차 관세 조기 인하 등 합의 사항의 착실한 이행을 목표로 두고 협의를 벌일 방침이며 협의 분야에는 반도체, 의약품, 조선, 에너지 등이 포함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미일 양국은 8월 초 상호관세 부과 예정일을 약 1주일 앞두고 미국은 일본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15%로 정하고 일본은 미국에 5천500억 달러를 투자할 것 등을 합의했다.
그러나 합의 문서가 만들어지지 않은 가운데 양국 정부는 합의 내용을 두고 이견을 보여왔다.
특히 투자 부분의 경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합의 당일인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을 통해 "내 요청에 따라 일본은 미국에 5천500억 달러(약 759조원)를 투자할 것이며, 이 중 90%의 수익을 미국이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일본) 정부계 금융기관이 최대 5천500억달러 규모의 출자·융자·융자보증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합의라고 하는 게 정확하다"며 곧바로 다른 설명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과 막판 합의안 담판에도 임한 아카자와 료세이 일본 경제재생상은 "출자는 1∼2%가 될 것"이라며 나머지는 융자나 융자 보증 형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evan@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