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비상벨 울린 제주도청 민원실…실전같은 특이민원 대응훈련

기사입력 2025-08-19 10:42

[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단계별 대응 점검…최근 5년간 특이민원 22건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여권 발급하러 왔는데,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결제할 수 없다고요?"

지난 18일 오후, 제주도청 민원실에서 한 민원인이 흥분해 목소리를 높이더니 급기야 서류를 창구에 집어 던졌다. 민원팀장이 즉시 개입했지만, 상황은 더 악화했다.

위협적인 행동이 이어지자 사전 고지 후 녹음이 시작됐고, 비상벨이 울리자 청원경찰이 신속하게 민원인을 제압했다.

피해 공무원은 휴게실로 분리 조치됐고, 내부 다른 민원인들도 안전하게 대피했다.

19일 제주도에 따르면 이는 도가 민원 비상상황 대응 능력 강화를 위해 실시한 '2025년 하반기 특이민원 대비 모의훈련' 내용이다.

훈련은 여권 발급 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하다는 안내에 불만을 표출하는 민원인 사례를 가정해 단계별 대응 절차를 점검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휘통제반, 초기대처반, 민원인 대피유도반, 피해공무원 구조반 등 역할별 비상대응반을 편성해 각 상황에 맞는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지도록 했다.

훈련에는 오영훈 지사와 소통청렴담당관 민원팀, 청원경찰, 제주경찰청 연동지구대 등에서 총 11명이 참여했다.

민원팀 직원들은 실전 같은 훈련을 통해 실제 상황 대응 능력을 키우고, 팀원들과의 협업 방식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고 전했다.

도는 이번 훈련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분석하고 특이민원을 세분화하는 등 적극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해 도내 공공기관에 전파할 계획이다.

또한 특이민원 발생 시 담당 공무원을 보호하기 위한 정신적·신체적 의료비 지원과 힐링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지원 제도를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제주도 조사에 따르면 최근 5년(2021∼2025)간 도내 특이민원은 제주시 3건, 서귀포시 11건, 기타 공공기관 8건 등 총 22건이었으며 폭언·폭행과 담당자 신상 공격 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atoz@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