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6·27규제 여파…8월 서울 주택사업 전망 전월대비 반토막

기사입력 2025-08-19 11:07

[연합뉴스 자료사진]
[주산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주산연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비수도권까지 영향

(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고강도 대출규제를 담은 6·27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8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주택사업 경기 전망이 크게 어두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6·27 대책 시행 이후인 지난달 16∼25일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8월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4.0포인트 하락한 76.0으로 조사됐다고 19일 밝혔다.

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낙관적 전망이, 100 미만이면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수도권이 전월 123.7에서 66.6으로 57.1포인트 떨어져 하락폭이 컸다.

서울(135.1→64.1)은 71.0포인트 하락해 전월 대비 절반 아래로 떨어졌고 경기(122.2→69.2)는 53.0포인트, 인천(113.7→66.6)은 47.1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작년 동월과 비교해도 전국은 -10.0포인트, 수도권은 -41.7포인트, 서울은 -55.9포인트로 부정적 경기 전망이 크게 우세한 양상을 나타냈다.

주산연 관계자는 "6·27 대출규제 시행으로 수도권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돼 이번 달 지수가 큰폭으로 하락했다"며 "자금 조달 문턱이 높아지고 추가 규제 가능성이 증가하면서 불확실성이 커지자 수요자들은 주택 구입 결정을 미루고 집주인들도 가격 조정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말했다.

비수도권은 16.9포인트 하락한 78.0으로 전망됐다.

광역시가 16.6포인트 내린 82.2, 도 지역은 17.1포인트 하락한 74.8로 조사됐다.

비수도권은 지난달에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인 94.9를 기록하며 회복이 기대됐으나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매수심리 위축 영향으로 지수가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8월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전월 대비 21.6포인트 하락한 71.2, 자재수급지수는 6.8포인트 내린 93.2로 각각 전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6·27 대책 이후에도 서울 송파구를 중심으로 재건축 단지 등 핵심 입지가 시장 반등을 주도했고, 규제 완화 기대감을 가진 대기 수요가 강남 3구 전반의 하방 압력을 저지하는 모습"이라며 "과거에도 강력한 수요 억제책 시행 이후 단기 조정을 거쳐 반등한 사례가 있었던 만큼 이번 규제의 효과가 장기적으로 이어질지는 지속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ulse@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