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SJ 단독보도에 따르면 미국 국토안보부(DHS) 산하 세관국경보호국(CBP)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가전제품들의 신고 가격이 과소 신고되고 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앞서 월풀은 수입 서류들로부터 생성된 연방정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올해 6월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가전제품들의 세관 신고 가격이 급락한 것으로 드러났다며, 신고가격이 '언더밸류'(실제 가격보다 낮은 표시 금액을 서류에 기재하는 행위) 수법으로 낮춰진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월풀의 의혹 제기에 대해 일부 관세 전문가들은 실제로 관세 회피를 위한 언더밸류가 이뤄진 것이 아니라 데이터 입력 오류나 중복 집계 오류 등일 공산이 크다는 의견을 내놨으며 이번에 CBP도 똑같은 판단을 내렸다.
월풀이 지목했던 업체 중 LG전자와 삼성전자는 WSJ의 논평 요청에 즉각 답하지 않았다.
GE 어플라이언시즈는 "잘 운영되는 기업이라면 이 데이터를 사용할 때의 한계를 이해할 것"이라며 "월풀이 이를 오용했을 뿐만 아니라 경쟁에 유리하도록 무기화하려고 시도한 것은 불행한 일"이라고 월풀을 비판했다.
solatido@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