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치 고장난 수도꼭지 같았다.
사실 V리그 선수들의 코로나 19 감염 통로가 리그 경기라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지난 4일 GS칼텍스전을 치렀던 현대건설에서 이틀 뒤 첫 확진자가 나왔지만, 상대 팀이었던 GS칼텍스는 지난 10일 IBK기업은행전을 치르고도 자가진단키트와 PCR(유전자 증폭) 검사 결과 전원 음성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또 지난 9일 현대건설-한국도로공사전 긴급 순연 결정으로 확산을 방지했다. 과정을 떠나 결과적으로 KOVO의 판단이 옳았다. 경기가 연기된 날부터 도로공사에서 확진자가 무더기로 쏟아졌다.
그 중 한 가지가 경기 전 사전 검사다. 타 종목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 가장 먼저 오는 19일 새 시즌의 문을 여는 K리그는 모든 선수에 대한 PCR 검사를 실시해 개막전을 준비한다. 이후 매 경기마다 출전엔트리 중 5명을 선별해 자가진단키트를 통해 음성 확인서를 제출해야 한다. 5명 중 양성 반응을 보인 선수가 나오면 선수단 전원이 PCR 검사를 받게 돼 있다.
프로농구는 이미 경기 전 사전검사 시스템을 갖췄다. 지난 시즌부터 경기 전 자가진단키트를 사용해 출전선수에 한해 음성 확인을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올 시즌 돌입 전 더 강화됐다고 한다.
하지만 KOVO에는 '경기 전 사전 검사' 시스템이 마련돼 있지 않다. 일각에선 "자가진단키트 정확률이 낮아 신뢰할 수 없다"며 목소리를 높이지만, 비용과 시간을 고려했을 때 최소한의 점검 시스템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는 건 시급하게 개선해야 할 점이다.
아무리 백신 접종으로 방역패스가 있더라도 V리그 콘텐츠를 생산하는 핵심요소인 선수들의 확진을 사전에 막을 수 없다면 모두가 원하는 '리그 완주'를 기대하긴 힘들 수밖에 없다.
이번 리그 중단을 겪으면서 아쉬운 점이 또 있다. KOVO와 구단들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했다는 것이다.
코로나 19 확산 방지는 컨트롤 타워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KOVO도 구단들의 컨트롤 타워가 돼야 했다. 현대건설-도로공사전 긴급 연기 결정 이후 구단 실무자들과 머리를 맞대고 의견을 모았어야 했다. 그러나 리그 정상화 원칙론만 강조했지 후속 대책 마련은 미흡했다.
KOVO도 답답하긴 마찬가지. 한쪽 구단의 입장만 대변하고 애로사항을 해결해주기에는 주최단체로써 형평성을 따질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매뉴얼을 마련해놓았던 것.
구단들도 할 말은 없다. 뜻을 모아 확산을 막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했지만, 서로 다른 이해관계 때문에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한 탓에 KOVO도 조율이 힘들었다.
그래서 KOVO 코로나 19 대응 매뉴얼의 유연화가 필요한 이유다. 올 시즌 개막 전 매뉴얼을 정립할 때와 4개월이 지난 시점에서의 상황과 정부의 방침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에 맞춰 KOVO가 주관해 실무위원회에서 매뉴얼을 유연하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명문화된 디테일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KOVO 실무위원회가 개최된 지는 3개월이 넘었다. manu35@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