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고재완의전지적기자시점]김구라의 3社통합시상식 제안, 성사되기 힘든 이유

고재완 기자

기사입력 2019-12-30 13:57



[스포츠조선 고재완 기자] 김구라는 사실 불이익을 감수하고 일침을 날렸다.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지 않고서는 이정도 조언도 하기 힘든 것이 우리나라 방송계다. 만약 생방송이 아니었다면 김구라의 발언은 편집됐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김구라도 이를 알고 있는 듯 작심하고 말했다.

김구라는 28일 서울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2019 SBS 연예대상'중 대상 후보를 인터뷰하는 자리에서 "내가 (대상 후보가 된 것이) 납득이 안되는데 시청자들이 납득이 될까 걱정이다. '연예대상'도 이제 물갈이를 해야 될 때가 아닌가 한다. 대상 후보 8명 뽑아놓고 아무런 콘텐츠 없이 개인기로 1~2시간 떼우는 거, 더이상 이렇게 하면 안 된다. 지상파 3사 본부장들 만나서 통합해서 돌아가면서 해야 한다. 광고 때문에 이러는 거 안다. 이제 바뀔 때가 됐다. 많은 시청자 분들이 오랜만에 김구라가 옳은 소리 한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같은 김구라의 주장은 허공의 메아리가 될 가능성이 높다. 실현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KBS는 늘 수신료를 현실화해야한다고 주장할 정도로 부족한 수익에 허덕이고 있다. MBC는 전체적인 시청률 하락세를 아직 극복하지 못하고 있다. SBS는 자칫 만성 적자의 늪에 빠질 위기다. 이런 가운데 연말 시상식, 특히 연예대상은 광고가 많이 붙는 주요수익원이다. 김구라의 말처럼 유재석 신동엽 김구라 등 혼자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이끌 수 있는 톱스타 방송인이 대거 한자리에 모일 수 있는 프로그램은 연말 시상식뿐이다. 그러니 기본 시청률이 보장될 수밖에 없다.

여기에다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이라는 것이 공정성을 가졌다기 보다는 자사를 위해 수고해줘서 고맙다는, 보은 차원의 의미가 크다. 매년 단체 수상이나 의외의 수상으로 공정성 논란이 일어나지만 이에 아랑곳 하지않고 매년 수상자를 결정하는 이유 역시 그것 때문이다.

만약 3사 시상식이 통합된다면 자사 프로그램이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는 것을 감수해야한다. 예를 들면 '런닝맨'과 '1박2일' 그리고 '나혼자 산다' 중 한 프로그램 출연자만 상을 받아야하는 상황이 나온다는 말이다. 본부장들은 자사 프로그램 출연자들을 홀대하면서까지 통합시상식을 추진할 명분이 없다.


김구라는 29일 '2019 MBC 방송연예대상'에서도 관련 발언을 했다. 그는 "(SBS연예대상 후) PD들로부터 많은 문자를 받았다. 자신들이 본부장이 되면 개혁적인 조치를 하겠다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그 사람들은 모두 본부장이 될 감들은 아니었다"고 우스개소리를 했다. 김구라의 말처럼 방송사 내에서도 많은 이들이 그의 주장에 동의할 것으로 보인다. 언론에서도 지상파 예능의 위기론이 나올 때마다 '통합시상식'의 필요성도 언급되곤 했다.

하지만 올해도 수년째 인기를 모으고 있는 예능에서 익숙한 예능인들이 '연예대상'을 채웠고 '상나눠주기' 역시 계속됐다.


일각에서는 왜 남의 시상식 자리에서 불편한 얘기를 하나라고 불편한 시선을 보내는 이들도 있다. 하지만 어느 누군가는 꼭 공론화했으면 하는 일에 평소의 '독설' 이미지를 업은 김구라가 총대를 멨다. 그의 발언이 실현될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용기만큼은 칭찬해줄만 하다.

엔터테인먼트팀 star77@sportschosun.com


▶2020 신년운세 보러가기

▶눈으로 보는 동영상 뉴스 핫템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