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현실에서 거세게 부는 비혼의 바람이 드라마로도 흘러들어갔다. 지난달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4월 혼인 건수는 지난해 동기 대비 21.8%나 감소한 1만 5670건이었다. 이른바 'N포세대'로 불리는 청년층이 기혼대신 미혼, 여기에 더 나아가 비혼을 택하며 방송가에도 '비혼'이 또다른 트렌드로 자리잡은 바. '비혼'을 전면에 내세운 작품들이 속속 등장하며 시청자들의 구미를 당겼다.
|
싱글맘 노애정의 '아이 아빠 찾기'라는 콘셉트를 가져와 4대1 로맨스를 펼치는 '우리, 사랑했을까' 역시 지금은 아이를 위해, 자신의 꿈을 위해 앞으로만 나아가는 노애정의 이야기를 담고 있음에도, 결국에는 네 남성 중 한 명과 사랑에 빠져 가족을 이루게 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비혼이라는 새로운 시대적 발상을 가져왔음에도 결국엔 전통적이고 고정적인 드라마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한 드라마 제작사 관계자는 스포츠조선에 "비혼 여성들이 늘어나고, 비혼을 생각하는 여성들이 주시청층인 2040 여성들과 합치된다는 점에서 그들의 관심을 반영한 드라마가 기획되는 건 당연한 흐름"이라며 "다만 비혼을 원했던 여성들이 모두 남자를 만나 행복하게 잘살았다는 식으로 마무리되는 전개는 실망을 안길 뿐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보크 논란 "임기영이 상대를 속이려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