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쌍둥이의 특별한 도전이 시작됐다.
"욕심을 부려서 직접 작사 작곡을 했다. 전에는 노래만 부르면 됐는데 이번에는 우리가 처음부터 끝까지 함께 만들어낸 앨범이라 애틋하다."(이상호)
쌍둥이라는 이름으로 트로트에 도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4년 전 처음 앨범을 내기도 했지만, 당시에는 크게 활동을 하지도 않았고 주목받지도 못했다. 그저 트로트가 좋았을 뿐이었다. 그런 이들이 진짜 '트로트의 맛'을 알게 된건 TV조선 '미스터트롯'에 출연하고나서부터다. 당시 '미스터트롯'에서는 출연과 동시에 탈락의 아픔을 맛봤지만, 그 쓴맛을 계기로 실력을 가다듬고 정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미스터트롯'은 실력 부족으로 떨어졌다. 어떻게 보면 고맙다. 조금 더 배우고 연습하고 준비할 수 있게 돼서 더 낫다고 생각한다. 요즘 트로트 경연 프로그램이 워낙 많이 생기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준비해서 다시 한번 도전해 보려고 한다. 경연에 나가면 과연 우리가 어느 정도 실력이고 대중이 얼마나 우리를 좋아해주실지 걱정도 되고 기대도 된다. 한편으로는 '미스터트롯'한테 고맙다. 그 덕분에 오히려 더 이를 악물고 열심히 준비하고 배우는 마음가짐을 갖게 됐다."(이상민)
|
"개그맨이 되고 행사를 다니며 노래를 하는 경우가 있다 보니 우리 노래가 한 곡쯤 있으면 좋겠다 생각했다. 그래서 앨범을 냈었고 2집을 내야 진정한 가수가 될 수 있겠다 생각해서 이번 앨범을 준비했다. 개그맨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볼 때 뭐든 재밌게 볼 거라고 레슨 선생님도 말씀하셨다. 그래서 트로트를 하려면 장난기를 빼고 진정성을 갖고 불러야 한다고 하셨다. 그전부터 그런 부분을 생각하고 있긴 했는데 다시 한번 일깨워주셨다. 정말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개가수'라고 하는데 요즘은 그런 경계가 많이 무너졌다고 본다. 개그를 그만두는 것도 아니고 비중을 노래 쪽으로 두는 것 뿐이다. '개가수'라기 보다는 '트로트 가수 쌍둥이'가 되는 게 목표다."(이상호)
|
"사실 개그맨들은 '개그콘서트'가 언젠가 없어질 거라 생각했다. 방송시간대가 계속 변동이 되는 것은 폐지 수순이라는 것을 모두 알고 있었다. 콘텐츠도 많고 시청자 눈높이도 높아졌다. 지상파 프로그램에 대한 제약은 심해졌고 개그맨들 또한 열정이 줄었다. 또 시청자들도 TV보다는 휴대폰을 비롯한 다른 플랫폼으로 콘텐츠를 접하는 시대가 됐다. 여러가지 복합적인 문제가 한번에 맞물려서 이렇게 된 것 같다."
"유튜브 '임쌍실험'을 시작했다. 쌍둥이는 DNA 지문이 99%이상 맞는다. 예를 들어 한 명은 자기 전에 일반 라면을 먹고 한명은 우유 라면을 먹고 얼굴이 얼마나 붓는지 이런 비교 실험을 직접 하는 거다. 그렇게 잊혀지지 않으려고 유튜브, 틱톡도 한다. TV보다 휴대폰 세대이니까 거기에 맞춰보려 한다. 코미디언이라는 자부심은 있지만 활동 영역의 경계는 허물어졌다고 본다. 이제는 트로트 가수 쌍둥이라고 하면 우리가 생각날 만큼 열심히 하겠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아직 대어는 없다" 7파전 신인왕 경합...팀성적도 고려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