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벽은 높았다.
프로연맹은 지난달 16일 이미 첫 번째 총재 선거를 실시했다. 하지만 입후보한 신문선 명지대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가 과반 찬성 득표에 실패했다. 그는 23명의 대의원이 한 표씩 행사한 선거에서 찬성 5표 획득에 그쳤다. 과반인 12표에 7표가 모자랐다.
프로연맹은 재선거에 돌입했고, 새로운 규정도 마련했다. 후보 난립을 막기 위해 기탁금 제도를 도입했다. 5000만원의 기탁금을 입후보자가 반환받기 위해서는 투표인단 중 20% 이상의 표를 얻어야 한다. 적지 않은 기탁금에 선뜻 나서는 사람은 없었다.
총재 후보자는 대의원 총회에서 3분의 2이상 동의를 얻어야 한다. 대의원 총회는 클래식(1부·12개 구단)과 챌린지(2부·10개 구단) 각 구단 대표와 대한축구협회 2명, 프로연맹 1명 등 25명으로 구성된다.
추대할 후보로는 사실상 권 총재 외에는 대안이 없다는 것이 전반적인 K리그의 정서다. 권 총재는 전임인 정몽규 총재가 대한축구협회장으로 이동하면서 2013년 2월 제10대 총재로 선출됐다. 4년 간 무난하게 조직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임 집행부가 구축한 1, 2부 승강제의 뿌리를 내렸고, 프로스포츠 단체로는 최초로 축구산업아카데미를 설립하는 등 부문별 전문인력 양성에 있어서도 한 획을 긋는 업적을 남겼다.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 위한 사회공헌 활동(CSR)도 활발하게 전개했다. 또한 각 구단의 재정 건정성 강화를 위해 선수 연봉과 좌석당 실제수입(객단가) 공개 등 리그 개혁에도 소매를 걷어부쳤다.
권 총재의 수락 여부가 미지수지만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탄력적으로 임기를 가져가는 조건부 수락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즉, 임기 중 새 인물이 나올 경우 총재직을 넘겨 주는 방안 등이 언급되고 있다.
김성원 기자 news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