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프로축구연맹은 15일 이사회를 통해 2018시즌 K리그 관중 집계 방식을 유료 관중만 발표하기로 했다. 공식 관중 집계 방식을 기존 유료와 무료 관중을 합쳐 했던 방식에서 이번 시즌부터는 유료 관중 숫자만 집계, 발표하는 방식으로 변경키로 했다. 시즌권자 중 경기장에 오지 않을 경우 관중 집계에서 제외한다.
올해 유료 관중만 발표할 경우 작년 대비 K리그 관중은 어떻게 변할까. 전문가들은 "2018시즌 K리그 흥행을 미리 점치는 건 어렵지만 최근 몇년의 흐름과 공짜표 배제를 감안할 때 유료 관중 발표수는 줄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프로축구연맹의 2017시즌 관중 집계 발표 자료를 보면 클래식 12팀의 평균 유료 관중수는 5387명이었다. 총 평균 관중수(6486명) 보다 약 1000명 정도가 적었다. 유료 비율은 83.1%였다. 클래식 팀 중 유료 관중 비율이 가장 높은 구단은 포항 스틸러스(96.4%, 8374명/8071명)였고, 가장 낮은 구단은 광주FC(57.7%, 3045명/1757명)였다. 광주는 지난해 강등, 올해 챌린지(2부)에서 뛴다.
공짜표를 미끼로 관중을 유인했던 팀들은 올해 관중 집계에서 큰 손해를 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챌린지 구단 마케팅 관계자들에게 발등의 불이 떨어진 셈이다. 국내 경기가 계속 움츠려들고 있고 국민들의 지갑 사정이 좋아지지 않을 경우 유료 관중 유치가 더 어려워 질 우려가 있다.
노주환 기자 nogoon@sportschosun.com
◇2017시즌 K리그 관중 현황
구분=총 관중수=유료 관중=총 평균=평균 유료=유료 비율
클래식(1부)=148만5197명=123만3668명=6486명=5387명=83.1%
챌린지(2부)=42만7941명=21만85명=2351명=1154명=49.1%
※클래식 경기수 229경기, 챌린지 경기수 182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