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피해 신고를 한 국내 기업이 5곳으로 늘었다.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지난 13일부터 이날 오전 8시 30분까지 국내 기업 8곳이 관련 문의를 했다. 이 가운데 5곳은 정식으로 피해 신고를 했고, 기술 지원을 받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민간 보안업체와 데이터 복구업체 등이 접수한 피해 사례도 상당한 것으로 파악된다. 해외에 지사나 본사를 둔 국내 기업, 네트워크와 연결된 결제 단말기와 광고판 등을 사용하는 상가들이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
유럽연합(EU) 경찰기구 유로폴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유럽을 중심으로 사상 최대 규모의 동시다발 랜섬웨어 공격이 발생했다. 세계 약 150개국에서 20만대 컴퓨터가 감염됐다.
국내에서는 대부분의 기업과 공공기관이 업무에 복귀한 이날 추가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랜섬웨어는 중요파일을 암호화한 뒤 이를 푸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 이번에 유포된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체제 취약점을 활용해 인터넷 네트워크를 타고 급속도로 퍼지고 있다. 회사 내 한 대만 감염돼도 파일공유 기능을 통해 다른 컴퓨터로 순식간에 확산한다.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켜기 전 인터넷을 끊고 파일공유 기능을 해제해야 한다. 이후 중요파일을 별도 장치에 저장한 뒤 컴퓨터를 다시 켜 윈도 운영체제와 서버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한다. <스포츠조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