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절반이상은 만족할 만큼 충분히 잠을 못자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이 적게 자는 이유로는 늦은 귀가 시간이 가장 컸다.
37.9%의 직장인이 '야근, 심야근무 등 퇴근 시간이 늦어서' 수면시간을 확보하지 못한다고 답했다. 또 20.0%는 'TV보고 어쩌고 하다 보면 별 이유도 없이 잘 시간을 넘겨서'를 이유로 꼽았으며, '살림, 육아 등 집에 돌아와서도 할 일이 너무 많아서(16.5%)', '평소 부족한 여가, 취미생활을 즐기느라(12.7%)'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이밖에 '출퇴근 시간에 대중교통 안에서 잔다(12.9%)', '점심식사를 포기하거나 간단히 먹고 잠을 잔다(11.1%)', '근무시간 틈틈이 휴게실, 자동차 안 등에 숨어서 쪽잠을 잔다(9.4%)' 등의 응답도 이어졌다.
이러한 수면부족은 직장인들의 컨디션 난조로도 이어진다고 잡코리아는 지적했다.
실제 잡코리아가 아침에 일어날 때 개운하게 일어나는지를 물은 결과 직장인 83.1%가 '자도자도 피곤하고 잔 것 같지 않다'고 답했다. '자고 일어나면 개운하고 상쾌한 기분'이라는 응답은 16.9%에 불과했다.
평소 피로도를 묻는 질문에도 '만성피로(50.3%)'라는 응답이 절반에 달한 가운데 48.7%는 '때때로 피로하다고 느끼지만 휴식을 잘 취하면 괜찮다'고 답하기도 했다. '전혀 피로감을 느끼지 않는다'는 응답은 1.0%에 불과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