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세기 초엽, 유럽대륙은 나폴레옹의 끝없는 야욕에 춤추며 신질서가 다듬어지고 있었다. 이 와중에 유독 도버 해협 너머에 있던 영국만이 나폴레옹에 맞서고 있었다. 바다에서 프랑스 함대의 진입을 저지하고 끝내 트라팔가 해전에서 조국을 구한 넬슨 제독이 있었기 때문이다. 해전이 끝난 빅토리아 기함에서 운명 전 그는 마르살라 와인을 찾았다.
1805년 그 해 10월의 트라팔가 해역에는 드센 해풍과 함께 파도가 크게 일고 있었다. 황제 나폴레옹의 칙령에 따라 나폴리로 향행하기 위해 카디스 항을 나온 프랑스 함대 사령관 빌뇌브는 33척의 함선들을 끌고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려 했다. 호시탐탐 프랑스 함대의 동태를 주시하던 넬슨이 27척의 함대를 이끌고 위장했던 곶(串)에서 출격, 프랑스 함대를 맹렬한 기세로 덮쳤다. 놀란 프랑스 함대는 황망히 북쪽으로 진로를 바꿨지만 영국 함대가 틈을 주지 않고 2열종대로 앞쪽에서 함대의 한가운데로 돌진하면서 순식간에 좌우로 적 함대를 교란시켜 버렸다. 넬슨이 거느린 15척의 전함과 부사령관 콜린우드가 지휘하는 12척의 전함은 종전과 전혀 다른 공격법을 썼다. 바다를 뒤엎을 듯한 포성과 함께 프랑스 함대의 전위가 화염에 휩싸였다. 빌뇌브의 전함들은 거의 응전조차 제대로 하지 못했다. 함대의 머리가 불타고 허리가 잘리면서 프랑스 해군의 참담한 패배가 뒤따랐다. 격침된 프랑스 측 전선이 5척, 나포된 선박이 17척, 전사자 8000여 명에 비해 넬슨 함대에는 피격되거나 침몰, 나포된 전함이 없이 전사자만 1600명이었다. 영국 측의 대승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