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젊은 층에서 종종 나타나는 망막박리의 원인이 근시에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런 가운데 분당서울대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팀이 2003년부터 2018년까지 16년 간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망막박리 수술을 받은 1599명에 대한 나이별 근시 정도를 확인한 결과, 50대 미만의 젊은 나이에서는 근시가 망막박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과를 도출해 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망막박리의 발병률은 20대와 50대가 다른 연령대 보다 높은 양봉형 양상을 보였다. 50세 미만의 젊은 망막박리 환자에서는 고도근시 비율이 50~60%, 근시 비율은 90%로 상당히 높은 수준 이었지만, 5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고도근시 비율이 10% 이하, 근시 비율은 20~30% 정도로 젊은 연령대의 환자와는 크게 차이가 났다.
반면, 근시가 아닌 경우에는 유리체 액화와 유리체 박리가 노화에 의해 일어나며 이로 인한 망막박리는 50세 이후가 되면서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우세준 교수는 "한국,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젊은 나이에도 망막박리가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나타내지만 서양에서는 주로 노인에서 발생한다는 인종적 차이를 보인다"며 "아시아 국가에서는 근시 인구가 많고 결과적으로 근시와 망막박리의 관련성으로 인해 젊은 연령층에서도 망막박리의 발병률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고도근시 환자라면 10대나 20대 때부터 망막박리 발생 위험성이나 주변부 망막에 이상은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우 교수는 "망막박리의 첫 증상은 비문증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흔하다"며 "만약 젊은 나이에 고도근시를 앓고 있으면서 비문증 증세를 느낀다면 안과를 찾아 망막 정밀 검진을 받는 것이 눈 건강과 시력 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바이오메드 리서치 인터네셔날(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
▶보크 논란 "임기영이 상대를 속이려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