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공공기관·대기업 유리천장 여전…2곳 중 1곳 여성 관리자 기준 미달

김세형 기자

기사입력 2020-11-25 11:04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하고 있지만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유리천장은 여전했다.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의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인 국내 공공기관과 대기업의 절반 이상이 기준에 못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는 여성 고용 기준을 설정해 고용상 성차별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다. 대상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이 해당 산업 등 평균의 70%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공공기관, 지방공사·공단, 500인 이상 민간기업 등 2486개 사업장 가운데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 기준에 미달한 곳은 1205곳(48.5%)에 달했다.

지방공사·공단은 기준에 못 미친 비율이 63.6%에 달했고 민간기업(48.1%)과 공공기관(43.5%)이 뒤를 이었다. 올해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 대상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의 평균 비율이 각각 37.7%, 20.9%에 그쳤다.

여성 관리자 비율의 경우 지방공사·공단은 8.5%에 불과했다. 공공기관(20.7%)과 민간기업(21.9%)의 여성 관리자 비율도 저조했다.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비율은 적극적 고용 개선 조치를 도입한 2006년 이후 서서히 상승하고 있지만 최근 수년 동안 횡보 양상을 보였다.

올해 여성 고용 기준 미달 사업장은 여성 근로자와 관리자 고용 목표, 남녀 차별 제도와 관행 개선 방안 등이 담긴 시행 계획서를 노동부에 제출해야 한다. 3년 연속 기준 미달이면 내년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에 명단이 공개된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