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환경부 등 부처 및 업계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자연 재난을 효과적으로 예방·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한다고 19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기후 변화에 따라 폭우·폭염 등의 극한 기상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가운데 AI 기술이 기존 재난 대응 체계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가 사전에 축적된 재난 데이터와 국토 지리 정보 등을 통해 예측하지 못했던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거나 재난 상황에서 빠른 대응으로 추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쿠도커뮤니케이션, 인텔리빅스, 이지스, 알체라 등 재난 대응 AI 제품·서비스 개발 기업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기관 관계자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AI 기반의 자연 재난 대응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재난 상황 데이터, 국토 정보 등 고품질의 데이터를 AI 시스템 연구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cs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