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마사회 DNA검사 시약은 해당 문제를 해결해 글로벌 말산업 시장에 변화를 일으킬, 국내 기술력의 쾌거다.
한국마사회는 2017년부터 말 DNA검사 시약의 국산화를 목표로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국마사회 도핑검사소는 3년간의 지속적인 노력 끝에 2019년 연구를 완료했고, 2020년 직무발명 심의를 거쳐 본격적인 기술 사업화에 나섰다.
2021년, 한국마사회는 자체 개발한 말 DNA 검사 시약에 대해 한국과 미국에 특허를 출원했으며, 2022년 한국 특허 취득에 이어 2023년 미국 특허 등록에도 성공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기술보호와 지식재산권을 확보했다.
이는 시약의 국산화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됐다.
2024년에는 제품 생산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제40회 아시아경마회의(ARC) 분과회의인 제17회 아시아·오세아니아 혈통서위원회(AOSBC)에서 기술을 소개했다.
이후 아일랜드 및 영국, 튀르키예 등 다양한 국가에 시제품을 발송하고, 호주 등 해외 말 DNA 검사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기술 홍보를 펼쳤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 2025년 호주 경마 말 유전학 연구소에 말 DNA 검사 시약 10,000건 분량을 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호주 전체 말 검사두수의 절반에 해당하는 규모로, 한국마사회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한국마사회 유준동 도핑검사소장은 "기술 국산화를 통해 국내 경주마 검사비용을 매년 4천만 원 이상 절감하는 수입 대체효과를 창출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시약 대비 검사 효율을 대폭 개선했다"며, "신속한 친자감정 및 개체식별을 통해 말 혈통등록의 신뢰성을 높이고, 나아가 경마 산업에 실질적인 경제적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기술 개발 성공은 말뿐만 아니라 소, 개, 당나귀 등 이종동물을 대상으로 한 친자감정 및 개체식별 검사 분야로 확장될 가능성을 보여준다.
한국마사회는 앞으로도 말 DNA 검사 시약 품질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제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지속적인 해외 홍보 활동을 통해 전 세계 말 유전자 검사기관을 대상으로 수출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성과는 한국마사회 기관 신뢰도를 높이고 국내외 경마산업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편집자주 : 이 보도자료는 연합뉴스 기사가 아니며 고객들의 편의를 위해 연합뉴스가 원문 그대로 서비스하는 것입니다. 연합뉴스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주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