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7월 서울 아파트 신규 계약 월세 48%·전세 52%

기사입력 2025-08-18 10:09

[연합뉴스 자료사진]
6·27대책에 초기 자금부담 적은 월세가 대안으로 부상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와 전세 계약 비중이 반반에 접근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신규 계약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월세 비중은 48%로, 지난해 7월(41%)보다 7%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세 비중은 같은 기간 59%에서 52%로 낮아졌다.

지역별로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곳은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중구(53%) 등이었다.

용산, 강남, 중구, 종로 등 서울의 주요 지역은 직장과 근접한 수요가 밀집된 고가 주거지로 전세보증금 마련 부담이나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커 월세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휘경자이디센시아, 리버센SK뷰롯데캐슬 등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초기 자금 부담이 작용하며 월세 거래가 활발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반해 도봉구, 동작구, 양천구, 성북구, 노원구 등은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직방은 "과거 전세 중심의 임대차 구조가 점차 전세·월세 간 균형에 가까운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며 "지역별 수급 상황이나 가격대, 주거 선호도에 따라 임대차 시장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이후에는 전세금 마련이 더욱 까다로워지며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월세 계약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다"면서 "향후 전세대출 제도, 공급 여건, 금리나 금융 규제와 같은 시장 변수가 변화할 경우 또 다른 흐름이 나타날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당분간은 월세 중심의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redflag@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