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강국이라는 인식과 한류 콘텐츠에 대한 호감이 바이오헬스 제품 구매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7일 발표한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 세계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하는 19개 국가를 대상으로 해외 소비자의 인식 조사에서 한국은 화장품 1위, 의료서비스 5위, 의료기기·의약품 각 6위에 랭크됐다.
조사 대상 국가는 한국 의료기관의 진출·환자유치 및 바이오헬스 제품 수출 상위국인 미국, 중국, 일본 등 15개 국가(22개 도시)이며, 이들 국가의 일반소비자 6800명을 대상으로 2024년 11월 25일~12월 18일 온라인 조사가 진행됐다.
한국에 대해 전반적인 호감도를 가진 응답자는 주요 이유로 '기술 강국 이미지'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한국 대중문화에 관심', '한국 바이오 제품에 관심'의 순으로 조사됐다. 한국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국가는 인도네시아, 베트남, 우즈베키스탄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우디아라비아, UAE, 독일 등에서는 전년 대비 호감도가 크게 상승했다.
아울러 K-컬처가 의료서비스 인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비율도 전체 응답자의 48.6%에 달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한류 콘텐츠가 한국의 바이오헬스 제품의 구매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제품 중 이용 경험률이 가장 높은 제품은 한국 음식(55.6%)과 화장품(55.5%)으로 나타났으며, 대만,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의 국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제품 중 헬스케어 제품의 이용 경험률(32.0%)은 자동차 이용 경험률(29.8%)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특히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UAE, 독일 등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제품 및 서비스 중 1순위 선호도를 보인 품목은 가전제품(22.3%)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상승세를 보였으며, 일본, 태국, 인도네시아, UAE, 카자흐스탄에서 상승 경향을 보였다.
한국의 의료서비스 수준 인지도는 68.1%로, 전년(64.9%) 대비 3.2%p 상승했으며, 인도네시아, 호주, UAE 등이 상승을 주도한 국가로 나타났다.
자국 내 한국 병원(의료시설) 이용 경험은 전년 대비 상승하며, 일부 국가에서 뚜렷한 확산세를 보였으며, 한국 병원 이용 시 주요 결정 요인은 자국 병원과 차별화된 특성이 관찰됐다. 공통적으로 '전문병원 및 의사 추천'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 병원의 경우 '소셜미디어(SNS) 평가 및 이용 후기'가 2순위로 나타난 점이 특징이다.
성별·연령별로는 남성은 SNS·지인 추천·광고에, 여성은 '전문병원 및 의사 추천'에 영향을 더 받았고, 연령이 낮을수록 'SNS 영향'이, 높을수록 '가족·지인 추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제조국으로서의 인지도와 한국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도를 비교한 결과, 동남아시아(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및 중화권(중국, 대만)에서 제조업(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과 의료서비스 모두에서 인식도가 높은 국가로 나타났다.
한국 바이오헬스 제품 이용 경험률과 의료서비스 인지도 간의 관계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제품 경험률이 높은 국가에서 의료서비스 인식도 또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국가별로 상이한 양상도 일부 확인됐다. UAE와 카자흐스탄은 의약품 이용 경험률에 비해 의료서비스 인식도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대만, 태국, 중국은 의료기기 경험률은 낮지만, 의료서비스 인식도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의료서비스 관련 정보 접촉 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은 '유튜브(Youtube)'(58.9%)이며, 이어 '구글(Google)'(46.4%), '페이스북(Facebook)'(23.0%), '인스타그램(Instagram)'(22.4%)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국가에서는 유튜브(Youtube)와 구글(Google)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정보를 접촉하는 경향이 있으나, UAE, 우즈베키스탄, 독일은 인스타그램(Instagram), 카자흐스탄은 틱톡(Tiktok)의 활용 비중이 높고, 중국은 도우인(Douyin, 중국 틱톡)(64.1%), 샤오홍슈(Xiaohongshu) 등 자국 특화 SNS 채널을 중심으로 정보 접근이 이뤄져 국가별 플랫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디지털 홍보 전략의 필요성이 확인됐다.
의료서비스 관련 주요 인식 간 관계 분석에서는, 자국 의료서비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국가일수록 한국 의료서비스를 치료 목적으로 이용 할 의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인도네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UAE 등은 자국 내 서비스 신뢰도는 낮지만 치료목적의 외국 방문 의향은 높은 국가로 확인됐다.
한국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실제 외국인환자 유치실적 간의 비교에서도 주목할 만한 결과가 도출 됐는데, 베트남, 몽골, 중국은 유치실적이 높은 국가이자 의료서비스 인식도 또한 높은 국가로 나타났으며, UAE, 사우디아라비아 등은 유치실적에 비해 한국 의료서비스 수준에 대한 인식이 높아 향후 적극적 마케팅을 통한 시장 확장 가능성이 높은 국가로 분석됐다.
한동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제의료본부장은 "이번 조사는 한국 의료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국가별로 정밀하게 분석하고, 바이오헬스 제품과의 연계성을 종합적으로 진단한 첫 단독 조사로 의의가 크다"며 "조사 결과는 한국 의료서비스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및 국가별 진출 우선순위 설정, 현지화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2025-08-07 16:0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