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②] '오징어 게임3' 황동혁 감독 "무당 캐릭터? 전 대통령실서도 있었는데.."
[스포츠조선 문지연 기자] '오징어 게임3' 황동혁 감독이 등장인물에 대해 언급했다.
황동혁 감독은 30일 오전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에서 스포츠조선과 만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 시즌3'(황동혁 극본, 연출, '오징어 게임3')의 인터뷰에 임했다. 황 감독은 화려했던 캐스팅에 대해 "누구를 먼저 죽이고 안 죽이고 등, '이 배우가 나오기에 오래 끌고' 이런 문제는 안 가져가려고 했다. 어떤 캐릭터를 써두고 여기에 가장 적절한 연기를 할 수 있는 배우가 누구일지를 생각했고, 더 오래 살아남는 배우가 더 유명한 배우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강하늘 씨가 임시완 씨보다 먼저 죽지만, 덜 유명한 배우라고 생각하지 않고, 그 캐릭터에 가장 잘 맞는 배우를 생각한 것이다. '언제 죽나'보다는 '어떻게 죽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배우들의 유명세나 인기도에 따라서 뭘 결정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이어 황 감독은 "민수(이다윗)와 남규(노재원)가 원래는 남규가 먼저 죽는 설정이었던 것 같다. 처음에는 남자 1, 2 혹은 타노스 패 1, 2, 3으로 번호만 있던 인물들이었는데 배우들을 캐스팅하면서 이름을 주고 디테일을 만들어내면서 완전히 뒤바뀌기도 했다. 제 기억에는 남규가 가장 마지막에 죽는 것이었는데, 둘의 운명이 쓰면서 바뀌어서 '너희는 죽는 순서가 바뀌었어'라고 하면서 대본을 줬었다"고 했다.
황 감독은 무당(채국희) 캐릭터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무당은 시즌1의 한미녀(김주령)처럼 '도라이' 같은 캐릭터를 만들고 싶었다. 한국 사회에서 워낙 무속과 무당이 어디서나 중심이 되잖나. 전직 대통령실에서도 그렇고, 한국 사회를 상징하는 것 같다. 요즘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도 무속인이 나오던데, 한국 사회를 대표하는 샤머니즘 이야기를 등장시키고 싶었다"고 말했다.
황 감독은 이어 "예전 저희 할머니가 신기가 빠진 무당에게 크게 당한 적이 있었다. 집에 방문을 하는 무당이 있더라. 할머니가 그 순간에 모아왔던 용돈 몇십 만 원을 무당에게 뜯겼는데, 그런 무당의 존재를 보여주고 싶었다. 그래서 여기에 등장하는 무당도 어느 순간에는 미래를 보기도 하고, 아이의 운명이나 기훈의 운명이나 어떻게 죽는지를 예언하거나 그런 불길한 징조를 알려주는 묘한 재미를 주고 싶어서 만든 캐릭터였다"고 말했다.
"성기훈을 제외한 모두가 빌런으로 보여졌다"는 말에 황 감독은 "점점 더 남은 사람들이 다크해지는데 흔히 얘기하듯이 밤이 깊을수록, 작은 불씨가 더 밝게 보인다는 말이 있듯 희망이 없는 지옥도 같은 느낌을 끝에 주고 싶었다. 가장 다크하고 남은 인물도 인간성이라고는 전혀 느껴지지 않는 곳에서 마지막 작은 불길을 길어올리는 성기훈의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서 뒤로 갈수록 점점 더 희망이 없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했다.
이 연장선에서 아이의 아빠였던 명기(임시완)의 최후에도 시선이 쏠렸다. 명기는 마지막까지 부성애보다는 생존본능을 가지고 행동하면서 자신의 아이까지도 내던질 수 있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에 황 감독은 "그 설정에서 명기는 아이를 던지려고 한 게 맞다고 생각했다 .명기라는 캐릭터는 인간에 대한 신뢰가 전혀 없다. 자기가 이기심으로 많은 선택을 해왔잖나. 자기가 제일 나쁜놈일 수는 없고, 세상은 나쁜놈 천지고, 자기는 그나마 덜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고 생각했다. 사실 도시락(마지막 생존자 중 약자 캐릭터)이 살아있었다면, 그 사람을 밀어버리고 아이를 데리고 셋이 나가면 되겠다고 생각했는데, 도시락이 자살해버리는 순간에 명기 머리에는 자기의 세계관과 인간관에서는 성기훈은 자기를 죽이고 아이를 데리고 나갈 것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계산했을 때 자기가 살 수 있는 방법은 성기훈을 못 건너오게 하고, 그 다음에 아이를 던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 인지 부조화 속에서 이제는 '이 애는 내 애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하기도 하고, 한 순간씩 망가지고 그런 사람이 닿을 수 있는 끝에 명기라는 인물이 보일 수 있는 가장 최악의 모습을 그려보고 싶었다"고 말했다.
'오징어 게임'은 전세계가 가장 사랑한 넷플릭스 시리즈다. 기발한 상상력과 독창적인 세계관으로 전 세계에 유례없는 신드롬을 일으킨 시즌1과 시즌2는 두 시즌 통합 누적 조회수 약 6억 시청수(시청 시간을 작품의 총 러닝 타임으로 나눈 값)를 기록했다. 이에 더해 시즌1은 넷플릭스 역대 가장 인기있는 시리즈로 이름을 올리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사로잡았다. 시즌2 역시 시즌1의 명성을 이어, 공개 첫 주 최다 시청수 기록, 공개 3일 만에 비영어 시리즈 TOP 10에 진입 후, 넷플릭스 역대 가장 인기있는 시리즈 3위를 기록하며 두 시즌이 함께 한국 작품으로서 글로벌적인 대기록을 세웠다.
'오징어 게임3'는 자신만의 목적을 품고 다시 참가한 게임에서 가장 친한 친구를 잃고만 기훈(이정재)과, 정체를 숨긴 채 게임에 숨어들었던 프론트맨(이병헌), 그리고 그 잔인한 게임 속에서 살아남은 참가자들의 마지막 운명을 그린 이야기를 담은 작품으로, 27일 공개된 이후 국내외에서 호평과 혹평 등 엇갈린 평가를 받는 중이다. 내용과 연기력에 대한 혹평이 쏟아지면서도 가장 인기있는 작품으로서의 존재감은 빛내고 있어 시선을 모은다.
30일 글로벌 스트리밍 플랫폼 집계 사이트 플릭스패트롤에 따르면 27일 공개된 '오징어 게임3'는 28일에 이어 29일에도 전세계 TV쇼 1위를 기록 중이다. '오징어 게임3'는 플릭스패트롤에서 순위를 공개하는 한국과 미국을 포함해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브라질, 호주, 모로코, 뉴질랜드 등 93개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하면서 압도적인 화제성을 자랑하고 있다.
문지연 기자 lunamoon@sportschosun.com
2025-06-30 12:51:18